알고리즘 코딩테스트

[D-28] 자료구조 - 배열과 리스트 & 구간 합

honeypeach 2025. 1. 31. 18:46

📍 자료구조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 접근, 수정하기 위한 그릇을 말한다.

 

 


📍 배열과 리스트

배열 : 메모리의 연속 공간에 값이 채워져 있는 형태의 자료구조
리스트 : 노드(값+포인터)를 포인터로 연결한 자료 구조

 

✅ 배열과 리스트의 특징 (한 눈에 보기)

  배열 리스트
인덱스  O (값에 바로 접근 가능) X
수정 X (어려움) O (쉬움)
배열의 크기 변경 X (불가능) O (가능)
구조의 복잡성 단순 복잡

✅  배열의 특징

1. 인덱스를 사용하여 값에 바로 접근할 수 있다.
2. 새로운 값을 삽입하거나 특정 인덱스에 있는 값을 삭제하기 어렵다. 값을 삽입하거나 삭제하려면 해당 인덱스 주변에 있는 값을 이동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다.
3. 배열의 크기는 선언할 때 지정할 수 있으며, 한 번 선언하면 크기를 늘리거나 줄일 수 없다.
4. 구조가 간단하므로 코딩 테스트에서 많이 사용한다.

 

 

출처 : 03-03배열 - 점프 투 자바 (https://wikidocs.net/206)

- 선언한 자료의 값만 저장 가능

- 인덱스를 통해 참조 가능

 


✅  리스트의 특징

1. 인덱스가 없으므로 값에 접근하려면 Head 포인터부터 순서대로 접근해야 한다. 다시 말해 값에 접근하는 속도가 느리다.
2. 포인터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데이터를 삽입하거나 삭제하는 연산 속도가 빠르다.
3. 선언할 때 크기를 별도로 지정하지 않아도 된다. 다시 말해 리스트의 크기는 정해져 있지 않으며, 크기가 변하기 쉬운 데이터를 다룰 때 적절하다.
4. 포인터를 저장할 공간이 필요하므로 배열보다 구조가 복잡하다.

 

출처 : [자료구조] 리스트(List) (https://velog.io/@yyj8771/%EB%A6%AC%EC%8A%A4%ED%8A%B8-List-%EC%9E%90%EB%A3%8C%EA%B5%AC%EC%A1%B0)

 

- 노드는 컴퓨터 과학에서 값과 포인터를 쌍으로 갖는 기초 단위를 부르는 말

 


📍 구간 합

배열을 이용한 특수한 목적의 알고리즘으로, 시간 복잡도를 줄이기 위해 사용한다.
코딩 테스트에서 사용 빈도가 높다.

 

✅  합 배열

구간 합 알고리즘 활용을 위해 먼저 합 배열을 구해야 한다.
기존의 배열을 전처리한 배열이다.
합배열을 통해 시간복잡도가 O(N)에서 O(1)로 감소한다.
합 배열 S 정의
- A[0]부터 A[i]까지의 합
- S[i] = A[0] + A[1] + A[2] + ... + A[i-1] + A[i] 

출처 : Do it!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 자바편

합 배열 S를 만드는 공식
- S[i] = S[i-1] + A[i]
구간 합을 구하는 공식
- i에서 j까지 구간 합
- S[j] - S[i-1]

ex. A[2] ~ A[5]의 구간 합을 합 배열로 구하는 과정
S[5] = A[0] + A[1] + A[2] + A[3] + A[4] + A[5]
S[1] = A[0] + A[1]
S[5] - S[1] = A[2] + A[3] + A[4] + A[5]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