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 기초

12. 암호화 통신하기 - HTTPS

📍 HTTP의 취약성 살펴보기

용어 설명
스니핑 (Sniffing) 네트워크 상에서 오가는 데이터를 몰래 감청하여 정보를 수집하는 해킹 기법.
주로 패킷 분석 도구를 사용해 트래픽을 모니터링하고, 민감한 정보를 탈취하는 데 사용됨.
ARP 스푸핑
(ARP Spoofing)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프로토콜을 악용하여, 네트워크 내에서 다른 장치의 MAC 주소를 속여 IP 주소와 MAC 주소의 매핑 정보를 변경하는 공격 기법.
이로 인해 데이터를 가로채거나, 네트워크 상에서의 중간자 공격이 발생할 수 있음.

✅ 간단한 비교

  • 스니핑: 네트워크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몰래 감청하여 정보 수집
  • ARP 스푸핑: ARP 프로토콜을 조작하여 네트워크 내에서 장치의 MAC 주소를 속여, 데이터를 가로채는 공격

 

 


 

📍 암호화 / HTTP + SSL 프로토콜 

용어 설명
암호화 (Encryption) 데이터를 읽을 수 없는 형태로 변환하여, 권한이 없는 사람이 접근할 수 없도록 보호하는 과정.
복호화 (Decryption) 암호화된 데이터를 원래의 형태로 되돌리는 과정, 암호화된 내용을 읽을 수 있게 변환.
해시 (Hash) 데이터를 고정된 길이의 문자열로 변환하는 일방향 함수, 주로 데이터 무결성 검사에 사용.
대칭 키 암호화
(Symmetric Key Encryption)
암호화와 복호화에 동일한 키를 사용하는 암호화 방식. 키를 안전하게 공유해야 하는 단점이 있음.
비대칭 키 암호화
(Asymmetric Key Encryption)
서로 다른 공개 키와 개인 키를 사용하는 암호화 방식. 공개 키로 암호화하고 개인 키로 복호화.
개인 키 (Private Key) 비대칭 키 암호화에서, 오직 키의 소유자만 알고 있는 비밀 키로, 주로 데이터 복호화에 사용.
공개 키 (Public Key) 비대칭 키 암호화에서 공개적으로 배포되는 키로, 다른 사람에게 데이터를 안전하게 암호화할 때 사용.
PKI (Public Key Infrastructure) 공개 키 기반의 암호화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기술 및 정책을 정의한 체계로, 인증서 발급과 관리 등을 포함.
디지털 서명 (Digital Signature) 데이터의 출처와 무결성을 보증하기 위해 개인 키로 데이터를 서명하는 방식.
보통 메시지가 수정되지 않았음을 검증하는 데 사용.
인증서 (Certificate) 공개 키와 그 소유자의 정보를 담고 있는 전자 서명된 문서.
PKI에서 인증서 기관(CA)에 의해 발급됨.
SSL (Secure Sockets Layer)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전송하는 보안 프로토콜로,
HTTPS에서 사용되며, 이제는 TLS로 대체됨.
HTTPS(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웹 브라우저와 서버 간의 안전한 데이터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HTTP 위에 SSL/TLS를 적용하여 암호화된 연결을 제공.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