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4-1. 네트워크 계층 살펴보기
항목 | 설명 |
라우팅 | 네트워크 상에서 패킷을 목적지까지 전달하는 경로를 결정하는 과정 |
라우팅 테이블 | 패킷의 목적지 주소에 맞는 경로를 찾기 위한 데이터 구조. 네트워크 장비에 저장되어 있으며, 경로 정보가 포함되어 있음. |
✅ 라우팅 테이블의 주요 구성 요소
항목 | 설명 |
목적지 주소 | 패킷이 전달될 최종 목적지 주소. |
서브넷 마스크 | 목적지 주소와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서브넷 범위. |
게이트웨이 | 패킷을 전달할 다음 홉(next hop) 라우터의 IP 주소. |
인터페이스 | 패킷을 전송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
라우터/호스트 | 경로를 제공하는 라우터나 호스트의 식별자. |
메트릭 | 경로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값. 값이 낮을수록 우선순위가 높음. |
📍 04-2. IP 주소
항목 | 설명 |
IP 주소 | 인터넷에서 장치들을 식별하는 고유한 숫자 주소. IPv4와 IPv6 두 가지 형식이 있음. |
클래스풀 IP | IP 주소를 클래스(A, B, C, D, E)로 나누어 관리하는 방식. 클래스 A, B, C는 일반적인 네트워크에서 사용됨. |
클래스리스 IP | IP 주소를 클래스에 구애받지 않고 서브넷 마스크를 기반으로 네트워크를 나누는 방식(CIDR, 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
서브넷 마스크 | IP 주소에서 네트워크 부분과 호스트 부분을 구분하는 데 사용되는 마스크. (예: 255.255.255.0) |
네트워크 대역 | IP 주소를 서브넷 마스크로 나누었을 때, 네트워크가 속한 범위. (예: 192.168.0.0/24) |
네트워크 ID | IP 주소의 네트워크 부분을 나타내는 고유 식별자. 서브넷 마스크를 사용해 결정됨. |
호스트 주소 | 네트워크 내에서 특정 장치를 식별하는 IP 주소의 호스트 부분. |
공인 IP | 인터넷에서 유일하게 식별되는 IP 주소. 인터넷 상에서 전 세계적으로 고유. |
사설 IP | 내/외부 네트워크에서만 사용되는 IP 주소. 인터넷과의 직접적인 연결 없이 내부 네트워크에서만 유효. (예: 192.168.x.x, 10.x.x.x) |
DHCP | 동적 호스트 구성 프로토콜(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에 자동으로 IP 주소를 할당하는 프로토콜. |
📍 04-3. 특수한 IP 주소
항목 | 설명 |
브로드캐스트 주소 | 네트워크 상의 모든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특수한 IP 주소. 예를 들어, 192.168.1.255 (서브넷 마스크가 255.255.255.0인 경우). |
NAT | 네트워크 주소 변환(Network Address Translation). 내부 네트워크의 IP 주소를 공인 IP 주소로 변환하여 외부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
게이트웨이 주소 | 다른 네트워크로의 통신을 위해 데이터를 전달하는 라우터의 IP 주소. 일반적으로 네트워크에서 외부 인터넷과 연결되는 지점. |
로컬호스트 주소 | 컴퓨터 내부에서 자기 자신을 가리키는 IP 주소. IPv4에서 127.0.0.1로 정의되며, 보통 "localhost"로도 불림. |
728x90
'네트워크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06. 광역 통신 방법 (0) | 2025.03.15 |
---|---|
05. ARP 프로토콜 알아보기 (0) | 2025.03.14 |
03. 근거리 통신 방법 (OSI 2계층) (0) | 2025.03.12 |
02. 네트워크 모델 알아보기 (0) | 2025.03.11 |
01. 네트워크 알아보기 (1) | 2025.03.10 |